본문 바로가기

희귀 직업

해저 농부: 바닷속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사람들

바닷속에서 농사를 짓는 시대, 해저 농부의 등장

지구의 약 71%는 바다로 이루어져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대부분의 식량을 육지에서만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 변화, 토지 부족, 사막화 등의 문제로 인해 미래 농업의 새로운 대안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받는 것이 바로 해저 농업(Underwater Farming)’이며, 이를 연구하고 실현하는 사람이 바로 해저 농부(Underwater Farmer)’.

해저 농부는 바닷속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전문가로, 특수한 수중 농법을 활용해 수경재배(Hydroponics), 해양 온실(Marine Greenhouse) 재배, 해조류 및 해양 작물 배양 등을 진행한다특히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네모의 정원(Nemo’s Garden)’ 프로젝트는 수중 온실을 이용한 해저 농업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과연 바닷속 농업이 미래 식량 위기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해저 농부란? 바닷속에서 작물을 키우는 새로운 직업

해저 농부는 해양 환경을 활용해 작물을 재배하는 전문가다육지에서의 농업과 달리, 수압, 염분, 수온, 빛의 투과율 등을 고려한 특별한 재배 기술이 필요하다.

해저 농부가 재배하는 대표적인 작물에는 수경재배 식물 (Hydroponic Crops)이 있다.

바질, 상추, 토마토 등 육지 작물을 해저 환경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네모의 정원 프로젝트에서 바질 재배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다시마, 미역, 스피룰리나와 같은 영양가 높은 해조류 (Seaweed Farming)를 대량 생산할 수도 있다. 

건강식품, 바이오 연료,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해양 약용 식물 (Marine Medicinal Plants), 바닷속에서 자라는 천연 항산화제 및 의약품 원료를 연구하기도 한다.

현재, 항암제, 항염증제 개발 가능성도 연구 중이다. 

산소 공급 식물 (Marine Oxygen-Producing Plants)을 활용하여 해양 생태계를 보존하고 탄소를 흡수하는 해양 식물을 재배하여 기후 변화 완화 효과도 기대한다. 

해저 농부는 단순한 농업인이 아니라해양 과학, 식물 생리학, 환경 공학을 결합한 융합형 전문가로,

새로운 농업 패러다임을 개척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저 농부: 바닷속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사람들

바닷속 농업 기술 해저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

해저 농업은 일반적인 농업과 다르게 특수한 환경에서 작물을 키우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주요 해저 농업 기술을 살펴보자.

대표적인 해저 농업 기술에는 해저 온실 (Underwater Greenhouse, Nemo’s Garden), 해조류 양식 (Seaweed Farming), 수중 수경재배 (Hydroponics in the Ocean), 해저 미생물 활용 농업 (Bio-engineered Marine Farming)이 있다. 

해저 온실 (Underwater Greenhouse, Nemo’s Garden)은 바닷속에 돔 형태의 투명한 온실을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바닷물이 기화되면서 자연적으로 정수되기 때문에 담수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 바질, 샐러드 채소 재배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 

해조류는 바닷속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해조류 양식을 통한 자연보호의 순기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건강식품 및 바이오 연료 원료로 활용 가능하다. 

수중 수경재배 (Hydroponics in the Ocean)는 해수에서 필요한 미네랄을 추출하여 식물에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태양광을 활용한 LED 조명으로, 빛 투과율이 낮은 깊은 바다에서도 작물 재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해저 미생물을 활용한 농업 (Bio-engineered Marine Farming)으로 바닷속 특정 미생물을 이용해 식물 성장 촉진 및 영양 성분 강화할 수 있다. 해양 박테리아와 공생하는 자연 친화적 농업을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해저 농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바닷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농업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해저 농업의 장점과 도전 과제 미래 식량 혁명의 가능성

해저 농업의 장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기후 변화 영향을 최소화한다. 즉, 해저 온실은 기후 변화, 가뭄, 폭염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연중 작물 재배가 가능하다, 담수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바닷물 증류 과정을 이용해 자연적인 담수 공급이 가능하며 물 사용량이 전통 농업 대비 70% 이상 절감된다.

친환경 농업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농약 사용이 필요 없으며해조류 양식과 결합하면 해양 생태계 보호에도 기여.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 완화 효과도 있다.

해저 농업의 도전 과제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초기 설치 비용 관련하여 부담해야 할 부분이 있고, 해저 온실 및 재배 시스템 구축 비용이 높다.

대규모 상업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고 기술 개발 및 유지 관리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해저 환경 특성상 설비 유지 및 작물 수확이 어려울 수 있고, 해류 변화와 해저 지형에 따라 안정적인 농업 환경 구축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법적 규제 및 해양 생태계 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해저 농업 운영 시,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가 필수적이다. 정부 및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해저 농업은 미래 농업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은 분야다.

해저 농부의 미래 전망 바닷속에서 농업 혁명이 시작된다

기후 변화 대응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해저 농업이 가뭄, 사막화 문제 해결책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전세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네모의 정원 프로젝트 성공 이후, 다양한 국가에서 해저 농업 도입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농업 시장을 창출하고 친환경 해조류 시장이 성장하면서해조류 기반 식품 및 바이오 연료 산업 발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첨단 기술 융합으로 발전시켜 인공지능(AI), 로봇 기술과 결합해 자동화된 해저 농업 시스템도 개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바닷속에서 미래 농업을 꿈꾸다

해저 농업은 아직 상용화 초기 단계이지만미래 식량 문제 해결의 핵심 솔루션이 될 가능성이 크다해저 농부는 새로운 농업 패러다임을 개척하는 직업으로앞으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